본문 바로가기
일하다가 하나씩

[암호화] 단방향 vs 양방향 / 대칭키 vs 비대칭키 간단 정리

by 밴씨 2023. 3. 16.
반응형

1. 단방향

단방향 통신

Plain text → Cipher text

HASH, 해쉬코드

SHA 256

2. 양방향

Plain text ↔ Cipher text

   1) 대칭키

        ○ Plain text ↔ Cipher text 같은 키로 암호화/복호화 가능.

        ○ 암호화 된 내용을 정해진 키 하나로만 열 수 있음

        ○ 키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게 중요

        ○ AES 128

   2) 비대칭키

        ○ Plain text ↔ Cipher text 다른 키로 암호화/복호화.

        ○ 공개키는 모두가 가질 수 있는 키고, 개인키는 개인만 가질 수 있음.

 

       (1) 공개키로 암호화 (RSA, ECC)

 

               - A가 B에게 'B의 공개키'로 암호화해서 전달함

               - B가 받아서 복호화 하려함

               - 'B의 개인키'로 복호화 진행

               -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(RSA, ECC)

 

       (2) 개인키로 암호화

 

               - A가 B에게 'A의 개인키'로 암호화해서 전달함

               - B가 받아서 복호화 하려함

               - 'A의 공개키'로 복호화 진행

                  → 이 정보가 'A'의 개인키로 암호화 했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A의 공개키로 복호화 할 수 있음. 

반응형

댓글